티스토리 뷰

728x90

이번 시간은 runtime broker 관련 정보를 알려드리기 위한 포스팅을 준비해 봤는데 컴퓨터로 여러 가지의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잘못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과정에서 악성코드에 감염되거나 다른 시스템적인 문제로 인해 처리되는 속도가 예전보다 느려진 걸 느껴본 적이 있을 겁니다.

 

 

 

 

이럴 때 작업관리자 프로세스를 보면 과도하게 메모리 리소스를 차지하는 비정상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런타임 브로커는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 권한을 확인 및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사용되고 있는 앱을 통해 개인 정보를 침해받지 못하도록 하는 권한을 갖고 있는 프로세스인데요.

 

보통 차지하는 메모리 양이 적긴 하지만 실행한 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CPU의 사용량이 갑자기 증가하고 점유율이 높아질 경우 PC 속도가 점점 느려지고 어딘가에 이상이 생긴 게 분명할 것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컴퓨터를 잘 다루지 못하는 분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될지 모르거나 아예 문제 원인을 찾지 않고 방치하고 계신 분들이 많을 겁니다.

 

그렇지만 이런 상태를 해결하지 않고 계속 내버려 두다 보면 점점 컴퓨터가 느려지고 끊김 현상이 생기기 마련일 텐데 그런 의미에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 몇 가지의 옵션 설정으로 점유율을 낮추는 방법을 알려드릴 테니 참고하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거예요.

 


 

 

 

윈도우 10 이하의 구 버전을 사용하는 분들은 runtime broker 현상을 다시 정상으로 돌려놓기 위해 키보드에서 윈도우 로고+R키를 같이 동시에 누르면 실행 창이 나오게 될 텐데 명령어를 입력하는 곳에 regedit를 적은 다음 [확인]을 누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나올 겁니다.

 

 

 

 

폴더가 보일 텐데 HKEYLOCAL_MACHINE> SYSTEM> CurrentControlSet> Services> TimeBrokerSvc의 폴더를 차례로 눌러 들어가면 Start가 있으니 더블클릭해 주세요.

 

728x90

 

이제 DWORD((32비트) 값 편집 창이 뜰 테니 값 데이터를 4로 바꾼 다음 밑에 [확인]을 누르면 적용되어 사용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면 CPU 점유율 문제가 사라지게 되고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에는 윈도우 10을 사용하고 계신 분들을 위해 알려드릴 텐데 좌측 아래에 있는 윈도우의 시작 메뉴를 눌러 [설정]으로 들어가면 Windows 설정 화면이 나올 텐데 디스플레이, 소리, 알림, 전원 옵션을 결정하실 수 있는 [시스템] 항목을 찾을 수 있으니 클릭해서 이동을 하면 되겠고요.

 

 

 

 

넘어가서 좌측 카테고리 중에 [알림 및 작업]을 선택하면 활성화된 단추를 볼 수 있는데 여기서 Windows에 대한 팁 표시를 해제해 주면 됩니다.

 

윈도우 10은 좀 더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을 테니 동일하게 따라하면 되겠고 이렇게 대처를 하면 runtime broker의 메모리 사용량 증가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테니 조치를 취한 다음 다시 살펴보면 될 것이며 그래도 뭔가 의심스럽고 찝찝하면 백신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전체적으로 정밀하게 검사를 진행해 보는 것도 도움 될 거예요.

 

이러한 작업을 모두 마치고 나서 다시 확인해 보면 PC 처리 속도가 전보다 훨씬 빨라진 걸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필요에 따라 이런저런 일로 파일 및 프로그램을 내려받을 때가 있는데 안전한 곳을 이용하는 게 좋을 것이며 가급적이면 검증된 사이트가 맞는지 제대로 확인하고 미심쩍을 경우 검색을 통해 받아도 되는 건지 확실하게 알아본 후 진행하는 게 현명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이 내용을 보신 후 도움이 됐다면 공감 하트(♥)나 SNS 및 다른 채널에 공유를 하거나 퍼가도 되지만 무단으로 허락 없이 글을 복사하는 행위는 적법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니 삼가주시고 보답해 준 분들께 진심을 다한 감사 말씀드립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