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이번 시간은 microsoft edge webview2 런타임 정체 및 삭제 관련 정보를 알려드리는 포스팅을 준비해 봤는데 가끔씩 여유 있는 시간에 PC 관리 차원에서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정리하게 될 때가 있을 것이며 살펴봤을 때 microsoft edge webview2 런타임이라는 이름도 긴 프로그램을 발견하게 된 적이 있을 겁니다.

 

 

 

 

직접 확인해 본 결과 바로 어제 날짜로 떡하니 설치되어 있는 걸 보게 되어 어쩌다 깔리게 됐고 정체는 무엇인지 궁금해졌는데요.

 

게시자를 보아하니 Microsoft Corporation으로 되어 있어 마이크로소프트와 관련된 프로그램인 건 알겠으나 무슨 프로그램인지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어졌는데 이렇게 저처럼 어떠한 과정에서 설치됐는지 확인하고 싶은 분들이 있을 것이므로 이번 포스팅을 통해 정리하여 알려드릴 테니 참고하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로즈마리> 이미지 출처:  Microsoft

 

 

microsoft edge webview2 런타임은 윈도우10(21h1 이상) 및 윈도우 11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 네이티브 앱에 웹 기술(HTML, CSS 및 JavaScript)을 포함할 수 있는 런타임이며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를 렌더링 엔진으로 사용해서 네이티브 앱에 웹 콘텐츠를 표시할 때 사용된다고 합니다.

 

WebView2의 이점은 웹 생태계 및 기술 집합, 신속한 혁신, 윈도우 10 및 11 지원, 코드 쉐어링, 에버그린 분포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인들에게는 도무지 무슨 말인지 모르겠고 이해가 잘 안가실 텐데요.

 

 

 

 

msedgewebview2를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웹 컨트롤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구성 요소 웹 기술을 사용해 만든 콘텐츠를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크로미늄 엔진을 허용한 엣지와 같은 프로그램에서 사용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사실 너무 깊이 알 필요도 없고 복잡하고 어려운 개념인 것 같아 더 이상 자세히 알고 싶지 않은 분들도 있을 텐데 그렇다면 혹시 컴퓨터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는 건 아닌지 궁금하실 수도 있을 거예요.

 

자세히 알아본 결과 WebView2는 PC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보안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해당 프로세스가 필요할 때만 실행된다고 하며 그렇지 않은 다른 상황에서는 PC의 성능에 영향을 주거나 CPU 또는 메모리를 점유하는 일은 없다고 하니 너무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웹뷰 클라이언트라 제거하면 기본 앱 오작동 또는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하니 웬만하면 건드리지 않는 게 좋을 것이며 윈도우 11의 경우 기본적으로 깔리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제거를 선택해서 지운 것 같았지만 PC를 껐다가 켜보면 다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지우고 싶어도 지울 수 없다는 걸 알게 될 거예요.

 

그렇지만 윈도우 10에선 프로그램 제거를 통해 삭제하는 것이 가능한데 msedgewebview2를 지우더라도 나중에 해당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앱을 사용하거나 윈도우 업데이트 시 다시 설치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728x90

 

그래도 지우고 싶거나 이 프로그램의 영향으로 오류가 생기고 있는 상황이라면 삭제 후 재설치를 해주면 되는데 윈도우 10을 사용하고 있는 PC를 기준으로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PC 화면 좌측 하단에 있는 시작 메뉴를 눌러서 제어판을 찾아 들어간 다음 프로그램 제거 항목을 클릭해서 이동하면 지금까지 설치된 프로그램을 전체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는데 여기서 microsoft edge webview2 런타임을 쉽게 찾을 수 있으니 우클릭해서 [제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https://developer.microsoft.com/ko-kr/microsoft-edge/webview2/


나중에 다시 재설치를 해야 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을 텐데 이럴 땐 위에 남겨드린 주소를 클릭해서 들어간 다음 열린 페이지에서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WebView2 런타임의 최종 버전을 다시 설치할 수 있게 제공하고 있는 걸 볼 수 있을 거예요.

 

그러니 아키텍처를 목록에서 선택한 후 [다운로드]를 눌러 설치 파일을 내려받으시면 되고 해당 경로로 찾아 들어가서 설치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실행 후 안내에 따라 진행하면 될 것입니다.

 

 

 

https://bit.ly/3kl9HMI

 

그렇지만 만약 알려드린 방식대로 진행할 수 없을 경우 위에 남겨드린 주소를 클릭해서 들어간 다음 좌측에 있는 [DOWNLOAD NOW]를 눌러 설치를 할 수가 있으니 버전에 맞게 선택해서 안내에 따라 진행하시면 될 거예요.

 

아무쪼록 이 내용을 보신 후 도움이 됐다면 밑에 공감 하트(♥) 또는 SNS 및 다른 곳에 공유하셔도 되지만 허락 없이 무단으로 글을 복사해가는 건 금지하고 있으니 삼가주시고 부디 이 글이 유익한 정보가 되었길 바라겠고요.

 

이 블로그를 북마크 해서 즐겨찾기해 주세요. 도움이 되고 유익한 꿀팁 정보를 알려드리는 내용이 계속해서 이어질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립니다.

 

728x90